2023년 개봉한 한국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이병헌, 박서준, 박보영 주연의 재난 스릴러로, 대지진 이후 서울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생존과 인간 본성의 드라마다. 김초엽 작가의 웹툰 『유쾌한 왕따』 중 일부를 원작으로 삼은 이 영화는 건물이 무너진 서울 한복판에서 유일하게 남은 아파트를 배경으로, 누가 안으로 들어오고 나갈 수 있는지를 두고 벌어지는 권력 투쟁과 심리 전쟁을 그린다. 재난이라는 외부적 위기 속에서 인간이 얼마나 잔인해질 수 있는지를 조명한 작품으로, 현실과 닮은 사회적 메타포로 관객들의 높은 공감을 얻었다.
줄거리 요약 – 폐허 위에 세워진 권력과 공포
영화는 거대한 지진으로 폐허가 된 서울에서 시작된다. 도시는 기능을 상실했고, 살아남은 사람들은 식량, 전기, 물 등 모든 자원이 끊긴 상태에서 극한의 상황에 놓인다.
이런 가운데, 유일하게 무너지지 않은 황궁 아파트는 살아남은 사람들에게 “마지막 피난처”로 떠오른다. 처음에는 주민들만 머물던 아파트는 외부 난민들이 몰려들며 갈등이 시작된다. 아파트 주민들은 생존을 위해 외부인을 차단하고, 공동체를 지키겠다는 명목으로 스스로 질서와 규칙을 만들어간다.
이 과정에서 민성(이병헌)이라는 남성이 등장한다. 그는 자신을 임시관리자로 자처하며, 주민들을 이끌고 외부인을 내쫓고, 내부 질서를 강제하는 방식으로 권력을 확보해간다. 초기에 모두가 그의 리더십에 의지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권력의 폭력성과 사이비화된 질서가 드러난다.
그 와중에 영탁(박서준)과 그의 아내 명화(박보영)는 점점 민성의 방식에 의문을 품게 되고, 내부와 외부 모두에서 위기감이 고조된다. 결국 민성과의 충돌은 폭력과 희생을 부르고, 영화는 인간 본성의 양면성과 윤리적 딜레마를 정면으로 마주하게 한다.
등장인물 분석 – 생존 앞에서 드러나는 본색
김민성 (이병헌): 평범한 공무원 출신. 지진 이후 스스로 지도자가 되며, 점차 독재적 성향을 드러낸다.
영탁 (박서준): 현실적인 인물로, 민성과 함께 하다 그의 폭력성을 비판하게 된다.
명화 (박보영): 생명을 중시하는 간호사. 공동체 속에서도 인간성을 잃지 않는다.
기타 주민들: 집단 심리에 따라 움직이며, 비이성적인 선택과 폭력을 드러낸다.
관객 후기 및 평점 – 현실보다 더 현실 같은 영화
- 네이버 관객 평점: 8.34점
- IMDb: 6.8 / 10
- Rotten Tomatoes: 85% 신선도
“이병헌 연기력에 소름”, “공동체와 인간성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만드는 영화”라는 호평이 이어졌다.
결론: 인간이 만든 또 다른 재난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지진이라는 재난보다 더 무서운 것이 공포 속에서 인간이 만들어내는 차별, 배제, 폭력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병헌은 압도적인 연기로, 선인지 악인지 모를 지도자의 초상을 그려내며 관객들에게 깊은 질문을 남긴다.
이 영화는 “우리는 위기 속에서 얼마나 윤리적일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그 질문은 지금 이 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하다.